책을 읽을 때 어떤 책을 선택해서 읽나요?

일반적으로 밥은 굶으면 살 수 없지만 책을 읽지 않는다고 해서 살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사람은 짐승처럼 먹는 것 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는 존재라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사람은 제 마음속을 채우기도 하고 비워 내기도 합니다.

마음속에 새로운 바깥 지식을 넣어 주는 책이 있다면 그 책은 이로운 것입니다. 이로운 책은 낡은 지식을 버리게 하고 그 자리를 새것으로 채워줍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택하는 책이 이로운 책인가요?

그런데 자기를 비워 내 마음속을 밝고 맑게 비워 주는 책도 있습니다. 그런 책은 슬기로운 책입니다.

슬기로운 책은 세상을 살면서 여러 방면으로 두루 통하며 어울리는 체험을 하게 하고 제 고집을 버리게 합니다.

정보화 시대에 적응하려면 이로운 책을 가까이할수록 이득이 됩니다. 약간 이해하기가 어렵지 않습니까?

날마다 새로운 지식이 쏟아지는 지금 세상에서 정보에 뒤지면 저절로 무능해질 수 밖에 없어서 사회생활을 위해서는 항상 이로운 책을 읽어 두어야 합니다.

그런데 정보화 시대가 항상 사람의 마음을 편하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날이 갈수록 시시각각 긴장하게 하고 초조하게 하면서 인간을 토끼 몰이 하듯이 휘몰아칩니다. 이는 그만큼 해야 할 일이 많다는 것을 뜻하죠.

그래서 능력이 뛰어난 인간을 지금 우리는 두뇌라고 부릅니다. 인간을 두뇌라고 부르는 것은 인간을 새로운 생각의 은행처럼 여기거나 발상의 뒤주처럼 취급하려는 것입니다. 

결국 정보화 시대는 곧 두뇌의 시대다.

물질 문명의 승패는 지하 자원에 의해서 좌우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런 시대는 20세기로 끝났고 21세기가 된 지금은 전자 문명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자문명의 승패가 두뇌에 의해 좌우될 것임은 분명한 것은 다들 알고 있죠. 물질 문명의 기술이 기능적이었다면 전자 문명의 기술은 창조력을 요구합니다.

창조력은 새로운 발상을 길어 내는 샘물과 같다 얕은 샘물은 몇 번만 길어 내면 단번에 그 바닥이 드러납니다.



새로운 발상이 다시 솟아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수원을 개발해야 합니다. 새로운 정보를 만나게 하는 이로운 책은 창조의 수맥과 같습니다.

창조의 수맥은 욕심을 부린다고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자기 중심의 아집에 사로잡혀 있으면 창조력은 고갈되고 말죠. 창조력은 텅 빈 마음에서 태어난다고 하지 않는가요? 항상 새로운 것을 바란다면 마음속에 묻어 있는 낡은 때를 벗겨 내지 않으면 안됩니다.

마음이 맑은 거울과 같아야 신비로운 것들이 보입니다. 마음속에 묻어 있는 때를 털어 내는 데 슬기로운 책보다 더 좋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정보화 시대라고 해서 이로운 책만을 읽어서는 안 됩니다.

이로운 책과 더불어 슬기로운 책을 함께 읽어야사물을 알게 하는 이로운 책보다 자기를 알게 하는 슬기로운 책을 더 많이 읽어야 창조력을 더욱 샘솟게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데타신카페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